djsecc.or.kr 습관강도설, 추동감소theory(이론) > djsecc7 | djsecc.or.kr shopping

습관강도설, 추동감소theory(이론) > djsecc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djsecc7

습관강도설, 추동감소theory(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8 20:11

본문




Download : 습관강도설.hwp




배가 고픈 아이에게 숙제하면 밥을 준다는 제안은 아이가 숙제를 빠른 시간에 하는 행동의 빈도를 높여준다. 이는 생리적 욕구가 추동일 경우에는 비교적 잘 적용되지만 칭찬이나 상장, 상금일 …(省略)

다.

-습관은 특정자극이 연속해서 동일한 reaction response을 유발시키는 경향성을 말한다.

그러므로 HULL은 모든 행동(reaction response잠재력)은 학습(습관)과 동기(추동)의 곱하기 함수라고 가정하였고 습관이 형성되고 강해지려면 습관적 reaction response에 강화가 뒤따라야 한다고 하였다.



순서
습관강도설, 추동감소theory(이론)
습관강도설,추동감소이론,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습관강도설.hwp( 33 )



습관강도설, 추동감소이론 , 습관강도설, 추동감소이론인문사회레포트 , 습관강도설 추동감소이론

설명
습관강도설_hwp_01.gif




레포트/인문사회





습관강도설, 추동감소theory(이론)


HULL은 조건형성 원리에 기초를 둔 행동의 일반 理論(이론)을 세웠다.
그 理論(이론)은 sEr = sHr × D 이것인데 여기에서 sEr는 reaction response잠재력을 뜻하고 sHr은 습관강도를 뜻하며 D는 추동을 뜻한다.

① 자극상태와 reaction response을 연결하는 연합의 강도는 습관이다.
-추동은 곱하기 방식으로 습관에 에너지를 주어서 더욱 강한 추동은 더욱 지속적인 행동 을 하게 된다된다. 습관과 추동사이의 곱하기 관계의 개념(槪念)은 습관강도의 값이 증가할수록 약 한 추동과 강한 추동에 의해 발생하는 reaction response잠재력의 차이가 증가한다.
HULL은 THORNDIKE처럼 습관을 형성하는 것과 강하게 하는 것은 reaction response의 결과에 의하 며 만족의 결과를 동기의 감소로 보고 있다 이러한 추동의 감소를 강화라고 하였다.

습관강도설



HULL은 조건형성 원리에 기초를 둔 행동의 일반 理論(이론)을 세웠다.

-습관은 특정자극이 연속해서 동일한 reaction response을 유발시키는 경향성을 말한다.
HULL은 THORNDIKE처럼 습관을 형성하는 것과 강하게 하는 것은 reaction response의 결과에 의하며 만족의 결과를 동기의 감소로 보고 있다 이러한 추동의 감소를 강화라고 하였다.
추동이 감소되는 자극이 강화이다.
그 理論(이론)은 sEr = sHr × D 이것인데 여기에서 sEr는 reaction response잠재력을 뜻하고 sHr은 습관강도를 뜻하며 D는 추동을 뜻한다.
자극(S) 습관(H) reaction response(R) => sHr (습관강도)
② 추동 (D) ∴ sEr = sHr × D

- HULL의 추동감소 (즉각적 보상, 1차적 보상, 생리적 문제)
추동 ―― 추동자극 ―― 강화 ―― 추동자극감소 ―― 추동감소
예> 배고픔---위산분비,위수축---먹이---위수축완화---배부름
=> 추동자극이 감소되면 추동이 감소된다된다.

추동 감소 理論(이론)은 모든 행동은 추동이 동기 상태로 유발되고 강화물은 추동을 감소시키는 자극으로서 유기체는 강화물을 얻기 위한 reaction response을 증가시킨다는 설명(explanation)이다.
전체 18,10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djsecc.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