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요한복음의 신앙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15:35
본문
Download : 요한복음의 믿다 연구.hwp
이를 위해 헬라어 콘코던스와 한글 개역성경, 그리고 NIV & GREEK BIBLE을 사용하였다.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믿음`의 대한 용어 이해
[신학] 요한복음의 신앙관
98회나 사용된 `믿는다`라는 동사형의 용어는 믿음에 대한 요한복음서 기자의 역동적인 계속적 결단 행위로써 믿음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5) `믿다`의 특별한 사용 예
2. `믿음`에 대한 용어 이해 및 빈도수
4) 요한복음의 신앙관
이러한 믿음의 대상은 예수 혹은 예수의 말씀, 예수의 행위 등이며, 특별한 예로 예수의 정체성 고백을 통한 신앙 신조가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이를 위해 헬라어 콘코던스와 한글 개역성경, 그리고 NIV & GREEK BIBLE을 사용하였다. 사용 빈도수가 많다는 것이 복음서 기자의 의도가 개입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요한복음서의 기자는 `믿다`라는 동사를 통하여 요한공동체의 신앙관을 드러내고자 하였을 것이다. 본 소고에서는 요한복음에서의 `믿다(πιστεύων)`라는 단어를 중심으로 요한복음의 신앙관을 살펴보기로 한다. 오히려 `믿는다` 혹은 `믿다`라는 동사가 타 복음서에 비해 월등하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요한복음서 기자가 믿음의 대상으로서 예수를 표현하고자 한 것은 신적 존재로써의 예수 즉, 예수의 정체성이었으며, 당시 요한공동체가 처했으리라고 추측되는 핍박과 유대계로부터의 축출에 대항하기 위하여 기독론의 재구성을 통한 신앙관 확립이었을 것이다.
Download : 요한복음의 믿다 연구.hwp( 34 )
요한 복음에서는 `믿음`이라는 명사가 단 한 번도 나타나지 않는다. 즉, 기자는 믿음을 인격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3. 요한복음의 신앙관
다. 오히려 `믿는다` 혹은 `믿다`라는 동사가 타 복음서에 비해 월등하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2) 감각(보고, 듣고)과 믿음
1. 서 론
4. 결 론





차 례
순서
요한복음서를 들여다보면 `믿다`라는 동사가 타 복음서에 비해 유난히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요한복음에서 `믿다`의 단어 사용 빈도수
1) 표적과 믿음
3) 지식과 믿음
본 소고에서는 요한복음에서의 `믿다(πιστεύων)`라는 단어를 중심으로 요한복음의 신앙관을 살펴보기로 한다.
요한복음, 믿음, 피스테온, 신앙, 토픽
요한 복음에서는 `믿음`이라는 명사가 단 한 번도 나타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