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수공업과 염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7 22:50본문
Download : 고려시대 수공업과 염업.hwp
공장은 왕경과 지방으로, 지방은 각 출신 지역별로 공장안에 등록·편제되었다.수공업과_염업 , 고려시대 수공업과 염업법학행정레포트 ,
Download : 고려시대 수공업과 염업.hwp( 78 )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고려시대 수공업과 염업
,법학행정,레포트
1) 수공업
(1) 관청수공업
(2) 소 수공업
(3) 사원수공업
(4) 민간수공업
2) 염업
(1) 고려 전기 소금의 생산과 유통
(2) 고려 후기 소금 전매제의 실시
1) 수공업
고려시대 수공업은 크게는 관청수공업·소수공업·사원수공업·민간수공업으로 나눌 수 있따 전기에는 관청·소 수공업이 중심을 이루었으나, 후기에는 이들 수공업이 쇠퇴하고 사원·민간수공업이 발달하였다. 공역에 종사할 경우에도 지급되는 대가가 고려 후기로 올수록 점차 임노동적인 성격으로 변한다 .
공장…(To be continued )
고려시대의 수공업과 염업의 특징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관청수공업장에 동원되는 일정 기간의 공역일을 제외하고는 자기 영업을 할 수 있었다.
중앙 관청수공업은 政府(정부)의 수요에 따라 분류되었고, 각 관청마다 각종 공장이 전속되어 있었다. 기본적으로 어느 계층의 수요품을 생산하는가에 따라 규정되었다. 따라서 그 수공업품은 전문성이 높고 수준도 뛰어났다. 공장안은 공장에 대한 국가의 파악과 역 수취를 위해 작성되었다. 이처럼 업종이 다양한 것은 분업체계를 갖추고 있었기 때문일것이다 공장은 관청에만 예속되어 있는 것은 아니었다.
관청수공업의 공정은 세분화되어 있었다. 중앙 관청은 그 비중에 따라 판사(정3품)~승(정9품)에 의해 지휘, 통제되었다.
고려시대의 수공업과 염업의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행정관리 체계는 신분적 위계질서가 철저하였으며, 그 등급은 단순히 생산의 규모나 중요성에 의해 규정되는 것은 아니었다. 군기감의 경우 공장의 업종은 皮甲匠·牟匠 등 13종이나 되었다.
중앙 관청수공업은 수도 개경의 중앙관청에 소속된 수공업장이 중심이 된 국왕·귀족의 생필품·사치품, 중앙관청의 필요품, 군수품, 국가행사의 필요품 등을 주로 생산하였다.






설명
수공업과_염업
다. 공장에게는 일종의 호적과 같은 工匠案이 작성되어, 이 안에 의해 공장의 공역 동원이 이루어졌다. 관리체계의 최고 담당기관은 工部(工曹)였다.
(1) 관청수공업
관청수공업은 왕실·관청의 수요품, 군수품, 조공품 등 지배층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것이었다. 관청수공업은 중앙·지방의 관청이 수공업장을 설치하고 工匠을 징발하여, 제품을 만드는 체제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고려시대는 조선시대처럼 경·외공장 같은 법제적 구분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