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삼한의 언어이동 / 삼한의 언어 이동(異同) 문제 2조 김지은 , 송하영, 이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6:50
본문
Download : 삼한의 언어이동 .hwp
순서
[인문사회] 삼한의 언어이동 / 삼한의 언어 이동(異同) 문제 2조 김지은 , 송하영, 이은
인문사회 삼한의 언어이동 / 삼한의 언어 이동異同 문제 2조 김지은 송하영 이은
삼한의 언어 이동(異同) 문제2조 김지은, 송하영, 이은실, 정현태Ⅰ. 머리말 고대, 정확히는 기원 전후시기에 있어서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언어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언어자료(data)를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된다.)(《三國志》 魏志 東夷傳)나. 弁辰與辰韓雜居 城郭衣服皆同 言語風俗有異 (변진은 진한과 섞여 살고 있으며 성곽과 의복은 모두 같고 언어와 풍속은 다른 점이 있 다. 그러나 잘 알려져 있는 대로 언어자료(data)는 신라가 통일된 이후 8세기 중엽에 기록된 지명자료(data)가 약간 있을 뿐이며 그 이전의 것으로는 관직명, 인명, 지명 등이 history(역사) 서에 산발적으로 보일 뿐이다. 우리는 거의 전적으로 이 자료(data)에 의존할 수밖에 없지만 다행히 여러 종족의 언어의 異同을 언급하고 있는 기록이 있어 큰 참고가 된다된다. (1) 변한과 진한의 언어 이동(異同) 문제 삼한의 언어상태와 관련하여서 진한과 변한에 대하여 서술하면서 《삼국지》와 《후한서》가 서로 다르게 표현하고 있다아가. 弁辰與辰韓雜居 亦有城郭 衣服居處與辰韓同 言語法俗相似 (변진은 진한과 섞여 살고 있으며 또한 성곽이 있다아 의복과 거처는 진한과 같고 언어 와 풍속은 서로 비슷하다.)(《後漢書》東夷列傳) ① 이숭녕 교수 -《진한어와 변한어는 ...





설명
Download : 삼한의 언어이동 .hwp( 48 )
삼한의 언어 이동(異同) 문제2조 김지은, 송하영, 이은실, 정현태Ⅰ. ...
삼한의 언어 이동(異同) 문제2조 김지은, 송하영, 이은실, 정현태Ⅰ.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Ⅱ. 몸말 여기서 다루게 되는 것은 삼한의 언어가 서로 다른 언어였느냐 또는 한 언어의 방언적 관계였느냐의 문제이다. 기원전후 시기에는 부여, 예, 옥저, 마한, 진한, 변한 등이 있었으며 이후 이들의 후예에 의해 세워진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가 있었다. 기원전후의 한반도와 그 북부의 언어는 크게 세 갈래로 나눌 수가 있다아 부여 - 고구려 - 옥저 - 예를 한 묶음으로 하는 夫餘系 言語와 마한 - 변한 - 진한을 한 묶음으로 하는 韓系 言語, 그리고 숙신 - 읍루 - 물길을 한 묶음으로 하는 肅愼系 言語가 그것이다. 여기서는 한계어의 언어 이동에 관한 자료(data)만 살펴보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