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전산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06:25본문
Download : 도서관 전산화.hwp
이 시스템은 미국내는 물론 미국외에서도 온-라인 터미널에 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설명
순서
도서관 전산화
☆ 특징 ☆
① 대학도서관에서 주로 먼저 전산화
② 서지정보의 온-라인化인 서지정보 시스템이 개발
③ 검색, 정보 제공에 온-라인 시스템 도입처음 .(MEDLINE)
☞ MEDLARS (Medical Literature Analysis and Retrieval System)
: 미국국립의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LM)이 의학문헌의 검색을 위하여 운영하는 시스템이다.
☞ MEDLINE (MEDLARS Online)
: 미국국립의학도서관이 개발한 온-라인 시스템으로 MEDLAR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 의학문헌의 서지조사를 위하여 1971년에 개발한 전산화 서비스이다.
- MEDLINE으로 ‘70년대 중반부터 도서관에서 온-라인 다양화.
- 도서관에서 micro computer 많이 사용 -> 온-라인 검색 시스템의 활성화 계기.
- 상업적 조직 (서지DB판매,제작 회사) 등장.(SDC, Lockheed co., ...)
4. 4기(`70년대말 - ‘80년대 중반)
- 도서관(중소규모, 공공, 학교도서관)간의 전산화 협력 처음
- 상호도서관정보망(Inter Libarary Network)이라는 용어 등장.
- 많은 서지 DB 급증.
- 다양한 정보검색 시스템 등장.
- 비영리적 대학도서관 중심의 정보시스템.
; OCLC, BALLOTS, UTLAS, WLN, RLIN
☞ UTLAS (University of Toronto Library Automation System)
: 캐나다의 전국적인 온-라인 도서관 네트웍으로 목록, 수서, 연속간행물 관리 등이 전산화되어 있다
☞ WLN (Washington Library Network…(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도서관 전산화.hwp( 54 )
도서관전산화 , 도서관 전산화기타레포트 ,
도서관전산화
다. 의학분야의 자동정보검색을 위하여 개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