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태그` B2C로 진화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6:14
본문
Download : 20060207.jpg
전자태그(RFID) 서비스 시장이 올해를 기점으로 ‘기업 대 개인 간 거래(B2C)’ 방향으로 확대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올해부터 B2C의 기반기술인 ‘모바일 RFID’ 산업 활성화에 적극 나선다.
이에 앞서 SK텔레콤 등 이동통신사업자와 삼성전자 등 단말기업체들은 최근 RFID 칩 내장 휴대폰 출시와 관련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협력관계를 잇달아 구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년에 휴대폰 기반의 모바일 RFID 상용 서비스 출현이 예상된다
한편 정통부는 오늘 9일 RFID 시범사업과는 별도로 본 사업에 나선다는 계획 아래 150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정통부 관계자는 “RFID 활용은 주로 기업 간 거래(B2B) 시장의 공급망관리(SCM) 영역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시장 잠재력 측면에서는 B2C 규모가 더 크다”며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앞선 우리나라가 모바일 RFID 응용 모델 발굴이 용이해 표준화에서도 주도권을 가질 수 있는 가능이 높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순서
`전자태그` B2C로 진화한다
모바일 RFID 기반 서비스는 영화포스터 등에 부착된 센서를 RFID 칩이 내장된 휴대폰으로 인식한 후 관련 정보를 전달받거나 예약 및 결제를 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분야 콘텐츠 서비스를 비롯 △택시 안심귀가 △즐겨찾기 △식품 정보 등 활용범위가 무궁무진하다.
정통부는 또 내년을 목표로 모바일 RFID 국제표준에 한국형 모델이 채택될 수 있도록 국제전기통신연합(ITU-T) 워킹그룹 활동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정통부는 우선 지금까지 공공기관 응용 서비스 모델 발굴 위주로 추진해오던 RFID 시범사업을 올 3차연도부터는 이동통신사 및 일반 민간기업이 참여하는 모바일 RFID 사업 개발 및 전자태그/유비쿼터스센서네트워크(RFID/USN)로 확대키로 했다.
`전자태그` B2C로 진화한다
설명
`전자태그` B2C로 진화한다
`전자태그` B2C로 진화한다
Download : 20060207.jpg( 77 )
레포트 > 기타





정통부 집계에 따르면 올해 국내 RFID 시장은 5500억원에 달하고 내년에는 조 단위에 이를 것으로 展望된다 국내 시장은 지난 2003년 600억원 규모로 조사된 이래 2004년 1200억원, 2005년 2900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본 사업은 지난 2차연도까지 시범사업을 추진한 10여개 공공기관 가운데 RFID 적용에 관한 구체적인 사업 計劃書(계획서) 를 제출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심사를 거쳐 초기 자금을 지원한다. 신혜선기자@전자신문, shinhs@
이에 따라 정통부와 관련업계는 모바일 RFID 기술을 응용한 B2C 비즈니스 모델이 본격 출현할 것에 대비, 올해부터 산업 활성화를 겨냥한 시범사업 추진과 함께 국제 표준화 제정에도 적극 참여한다.
다. 이를 위해 정통부는 또 내달 한국전산원을 통해 공고될 예정인 3차 시범사업에 40억원의 예산을 책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