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암의 리기론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6 07:29
본문
Download : 갈암의 리기론에 관한 고찰.hwp
리기의 불상리라는 관계에서 비롯되는 상호의존이란 양자의 긴밀한 상호작용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그것은 곧 기의 세계에 도의 존재이유가 발견되는 한편, 기의 존재가 도의 분한을 표상하는 것과도 같은 관계를 말한다. 그가 퇴계의 주리설을 신봉하는 것은 퇴계의 이러한 사고에 공감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가 리의 자발과 자동을 입증하고 설명(explanation)하려는 태도도 그것과 깊은 연관이 있다
리기이원론의 체제에서 리만을 별도로 설명(explanation)하기 위해서는 일종의 인식론적 관점과 방법의 반성을 필요로 한다. 그 논의... , 갈암의 리기론에 관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갈암의 리기론에 관한 고찰.hwp( 45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4. 리를 보는 관점
설명
갈암의 리기론에 관한 고찰
그의 말년(78세 갑신)에 우담에게 답한 글(답정군익)의 별지에서 논의된 것은 총 6항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실제의 세계에서는 기에 의해서 도리의 분이 표상되는 것(분수의 형상), 반대로 도에 …(To be continued )
4. 리를 보는 관점그의 말년(78세 갑신)에 우담에게 답한 글(답정군익)의 별지에서 논의된 것은 총 6항이다. 그 논의...
다. 그보다는 이 언명은 내면에서 일어나는 리의 발에 대한 일종의 체인 혹은 체험에 입각한 앎의 차원을 가리킨다고 생각된다된다. 그 논의의 초점은 대체로 기와 구별되는 리의 존재와 그것의 체용 등에 관한 올바른 인지의 방법에 맞추어져 있다 이 글에서 갈암은 퇴계의 설을 인용하여 `학문과 도술에서 차이가 나는 이유는 리자가 알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리자가 알기 어렵다는 이유는 단순히 성리학의 槪念이나 그로써 구성되는 논리와 이론(理論)의 차원에서 말하는 것은 아닌 듯하다.순서
4. 리를 보는 관점
그의 말년(78세 갑신)에 우담에게 답한 글(답정군익)의 별지에서 논의된 것은 총 6항이다. 형이상에 해당하는 도 혹은 리는 감각적 지각의 대상이 아니라 직관과 사유의 방법으로 획득되는 성질의 것이기 때문일것이다 더 나아가서 사실의 세계에서 리의 발용 혹은 발동을 설명(explanation)하기 위해서는 비물질(무형상, 무성취)인 리치가 유형상 유성취의 실물의 세계에 작용하고 influence을 준다는 것을 입증하고 설명(explanation)해야 하는데, 이것은 대단히 어려운 작업일 뿐 아니라 실제로는 이미 밝혀진 것처럼 논리적인 장애가 놓여있는 문제이다.
그러나 그 문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성리학의 공리가 되다시피한 도즉기 기즉도 또는 리기 불상리라는 관념은 리기의 상호 의존성을 내포로 하는 것이다.